
데이터 구조 데이터 구조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특정 데이터 타입을 말한다. list(), tuple(), dict(), set() 등 많음 1. 리스트(List; list()) 여러 데이터를 순서대로 나열한 데이터 구조이다. 리스트는 변형 가능한(muttable) 데이터 구조임 다른 언어의 배열과 비슷하지만 다름 리스트의 원소는 같은 타입일 필요는 없다. 0 ~ length – 1의 인덱스로 접근 가능하다. ex) list_name[index] list1 + list2는 list1 뒤에 list2가 붙은 리스트가 리턴 된다. 메소드 - list.append(value) : list의 맨 뒤에 value 원소를 추가한다. - list.insert(index, value) : list[inde..

5.1. 리스트 더 보기 list.extend(iterable): 리스트 끝에 이터러블의 모든 항목을 덧붙여서 확장 한다. list.insert(index, value): index번째 위치에 value 항목을 삽입한다. 처음이나 중간에 삽입하면 그 뒤의 값들은 뒤로 미룬다. list.pop([i]): 리스트에서 주어진 위치의 항목을 삭제하고 그 값을 리턴한다. i값을 지정하지 않으면 가장 마지막에 있는 값을 삭제하고 리턴한다. list.clear(): 리스트의 모든 항목을 삭제, del a[:]와 같음 list,index(x[, start[, end]]): 리스트에 있는 항목 중 값이 x와 같은 값을 가지고 있는 항목의 가장 첫번쨰 인덱스를 리턴한다. 그런 항목이 없으면 ValueError를 낸다. 선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ImageStitching
- ML
- import
- HACKDAY
- random
- 머신러닝
- 네이버 인턴
- Else
- Machine Learning
- Break
- 튜플
- continue
- 파이선
- 핵데이
- 딕셔너리
- 클래스
- Math
- python
- 리스트
- list
- 삼항연산자
- 파이썬
- 변수
- 고급 파이썬
- sys
- 디폴트 파라미터
- 네이버
- 모듈
- DateTime
- stitcher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